메인콘텐츠 바로가기

함한 전북권 광역생활권이 국가교통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날짜 25-04-15 12:01 조회52회

본문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대광법)’ 개정안이 14일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전주를 포함한 전북권 광역생활권이 국가교통정책의 정식 대상이 됐다.


위파크 일곡공원


이는 수도권 중심으로 짜여 있던 광역교통정책의 지형을 변화시키는 신호탄이자, 전북 균형발전정책에 속도가.


축제 기획 수립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간대별 버스 승하차 및 환승 정보, 정류장 혼잡도, 생활이동인구 정보 등은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할 때 반영할 예정이다.


또 업종별·용도별 건물 에너지 소비 정보를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파악해 탄소중립정책.


다만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같은 주요정책은 여야 간 의견 차이가 거의 없어.


의정부 역세권을 고밀·복합 개발해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콤팩트 시티’(기능집약 도시)로 만들어 나간다는 구상이다.


교통정책에도 큰 성과를 거뒀다.


의정부시는 타 지역 통근 비율과 대중교통의존도가 높아 많은 시민이 버스와 전철을 이용하고 있다.


운송정책책임자가 연맹의 운영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멸종위기종 보호가 탄생의 목표였던 NABU는 오늘날 독일의 공공교통정책에도 적극 참여한다.


NABU는 2019년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모빌리티 전환 연맹’을 결성했다.


회원 100만 명 수준의 대형 연맹.


관리에 관한 특별법(대광법)'이 최근 국무회의에서 최종 의결됐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주시를 비롯한 전북권이 광역교통정책의 새로운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됐다.


이번 대광법 개정은 수도권 중심의 광역교통정책틀에서 벗어나.


교통개선 집중관리지구’로 지정하고, 시내버스 106-1번을 신설해교통소외 지역의 불편을 완화했다.


아울러 공공성을 우선한교통정책의 일환으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실시하고, 의정부공공버스 의정부01번과 의정부똑버스를 도입해 접근성과 정시성을 높였다.


설치하려다 보니 보행로인 인도가 줄어들며 가로수를 제거해야 하는 등 문제점들이 돌출됐다.


보행자 중심이 아닌 차량 중심교통정책이라는 비판도 쏟아졌다.


제주도는 2023년 1월 중앙차로제 공사 방식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돌입했다.


중앙차로제는 유지하되 도로.


전북도에 따르면 이번 개정안은 인구 50만 이상.


중기계획과 2027년부터3년간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고 15일 밝혔다.


용역 주요 내용은 ▲ 도시교통의 현황 및 전망 ▲교통정책의 목표 및 방향 설정 ▲ 부문별 추진계획 수립 ▲ 투자사업 계획 및 재원 조달 방안 마련 등이다.